자동차 소모품 중 엔진오일이 있습니다. 이는 자동차를 운전하게 된다면 무조건 바꾸어야 하는 오일 중 하나이며 바꾸지 않을 경우 큰일이 날 수 도 있습니다. 그래서 엔진오일은 교환주기가 온다면 무조건 교체를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어느 정도이며 엔진오일 점검하는 방법을 한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엔진오일이란
엔진오일은 자동차의 모든 움직임을 책임지는 엔진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은 자동차의 심장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심장을 움직이기 위한 혈액을 엔진오일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엔진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엄청 큰 마찰이 일어나고 열이 발생되게 됩니다. 이때 엔진오일은 자동차 엔진에 흐르게 되며 엔진의 마찰을 감소시키며 응력을 분산시키고 청정, 방청, 냉각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중 엔진오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윤활작용으로써 마찰이 심한 엔진을 부드럽게 하여 엔진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주기를 자동차 주행거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우선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주행거리로 판단을 하자면 5,000~7,000km를 적정 교환주기로 봅니다. 하지만 10,000km에도 바꾸어도 괜찮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엔진오일은 주행을 하며 엔진을 사용할 때 마다 색이 변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엔진오일의 색은 5,000km 미만의 경우 노란색이나 맑은 갈색빛의 색이 나게되며 5,000 ~ 7,000km의 경우 갈색깔로 색이 나타나며 계속해서 주행을 한다면 짙은 갈색으로 바뀌게 되며 결국 검정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는 오염도에 따라 변하게 되어 색이 짙을 수록 엔진오일이 오염되어 그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행거리 뿐만아니라 자신이 사용하는 엔진오일의 종류나 주행 습관에 따라서도 엔진오일 교환을 하실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은 교환하는 순간부터 공기와 닿게 되며 산화가 진행되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다르게 말하자면 아무리 교환을 하시고 있더라도 차량을 오랫동안 방치하고 운전을 하시지 않는다면 산화가 진행되어 엔진오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로 인하여 엔진오일을 교환하더라도 1년에 한번은 엔진오일을 교체하는 것이 맞습니다.
엔진오일 점검하는 방법
엔진오일을 점검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냉각수가 80~90도가 될 때까지 엔진을 가동시킵니다.
- 냉각수가 온도에 맞게 워밍업이 된다면 시동을 끄고 5분 정도 기다린 후 자동차 보닛을 열고 엔지오일 게이지를 찾습니다.
- 엔진오일 게이지는 노란색으로 당길 수 있게 생겼습니다.
- 엔진오일 게이지를 당겨 엔진오일을 깨끗한 천으로 한번 닦아준 후 다시 엔진 오일 게이지에 넣고 다시 뺀 후 색을 보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엔진오일 점검시 체크사항
- 엔진오일 게이지가 F와 L 사이에 묻는지 확인을 합니다. 이때 F와 L 사이의 중간지점에 조금 위에 묻어나오는 것은 정상이지만 L에 가깝다면 엔진오일이 부족하여 교체를 하셔야 합니다.
- 엔진오일이 검은색에 가까울 수록 엔진오일을 교체를 하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 오일을 만질 때 끈적거림이 있어야 정상적인 오일이며 산화가 진행된 엔진 오일은 점도가 사라지고 미끌거리며 물처럼 흐르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온다면 교체를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알아보았고 엔진오일 자가점검하는 방법과 점검시 체크 사항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아무리 교환했더라도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다면 산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교환을 하셔야 하며 색이 짙을 수록 산화가 되어 엔진오일의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꼭 교환을 하시고 자동차를 운행하시길 권합니다.